* 이날 바우덕이 축제에서 바우덕이를 가장 잘 알수있는 덧보기 공연이 있었다.
  바우덕이는 누구인가?, 바우덕이의 인생을 알고 축제를 관람하면 축제를 즐기기에
  더욱 좋을 것이다.





* TIP : 덧뵈기라는 명칭은 말 그대로 덧본다, 혹은 곱본다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탈춤의 형식을 빈 재주이며 마당씻이, 옴탈잡이, 샌님잡이, 먹중잡이의 네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 곳곳을 섭렵하였던 남사당의 특성상, 덧뵈기에는 본산대(本山大), 양주의 별산대, 해서지방의 가면놀이, 남부지방의 오광대 야유 등이 고루 혼합되어 있으며, 지역성을 벗어난 전문적인 놀이 형태로 팔도를 유랑, 섭렵하던 남사당의 폭을 보여 주고 있다. 다만 남사당들의 본거지가 대부분 경기 지역이었던 관계로 그 근간이 되는 것은 역시 산대놀이 계통이며, 그 위에 각 지방의 특색있는 탈춤들을 곁들여서 오늘날과 같은 형식의 덧뵈기가 완성되었다고 여겨진다. 덧뵈기는 산대도감극(山大都監劇)등속과는 달리, 관(官)의 주관이 아닌 완전한 민중극이었다. 따라서 재담, 음악, 춤사위, 연희 등 절차에 있어서 넘치는 풍자정신과 세련된 연기는 단연 다른 탈놀이를 압도할 뿐만 아니라, 등장하는 탈과 극의 전개 속에서 외래 침략세력의 배척과 봉건적 갈등의 극복이라는 민족적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다른 지역적 탈놀음에 비하여 의식성이나 행사성에 관계없이 그때그때 지역민의 요구와 흥취에 영합하였는데, 춤보다는 재담과 동작 부분이 우세한 풍자극으로 다분히 양반과 서민의 갈등을 상놈의 편에서 의식적인 저항의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탈놀이는 우리 나라 연극의 원초적 형태라고 볼 수 있으며, 고구려의 가면무, 백제의 기악, 신라의 5기와 처용무 등이 토착적인 탈굿과 어울리면서 발전되어 온 것이라 생각된다. 탈의 종류에는 샌님 · 노친네 · 취발이 · 말뚝이 · 먹중 · 옴중 · 피조리 · 꺽쇠 · 장쇠 등이 있는데, 바가지 위에 종이 찐 것으로 요철을 나타내고 눈구멍과 입구멍을 뚫은 다음, 아교 · 백분 · 광물성 분말염료를 배합하여 만드는, 전래하는 전통적인 '아교단청'으로 각 탈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by 김만석 2007. 10. 6. 07:13
| 1 |